반응형
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.
Ch 3. 함수 - 우함수와 기함수, 우함수와 기함수의 특징
우함수와 기함수: 대칭성에 따른 함수의 분류
함수는 그래프의 대칭성에 따라 우함수(Even function)와 기함수(Odd function)로 나눌 수 있다. 이러한 분류는 함수의 성질을 파악하고 계산을 단순화하는 데 유용하다.
1. 우함수 (Even Function)
우함수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인 함수를 의미한다.
1.1. 정의
모든 실수 에 대하여 f(x) = f(-x)를 만족하는 함수 f(x)를 우함수라고 한다.
- 예시:
-
- f(x) = f(-x)이므로, 은 우함수이다.
-
- f(x) = f(-x)이므로, 는 우함수이다.
-
1.2. 특징
- 그래프: 그래프가 y축에 대해 대칭이다.
- 차수: 다항함수에서 모든 항의 차수가 짝수이다. (상수항은 차수가 0이므로 짝수 차수에 속한다.)
- 정적분: 우함수 f(x)가 닫힌 구간 [-a, a]에서 연속일 때, 가 성립한다.
2. 기함수 (Odd Function)
기함수는 원점(0,0)에 대하여 대칭인 함수를 의미한다.
2.1. 정의
모든 실수 에 대하여 f(-x) = -f(x)를 만족하는 함수 f(x)를 기함수라고 한다.
- 예시:
-
- f(-x) = -f(x)이므로, 은 기함수이다.
-
- f(-x) = -f(x)이므로, 는 기함수이다.
-
2.2. 특징
- 그래프: 그래프가 원점에 대해 대칭이다.
- 차수: 다항함수에서 모든 항의 차수가 홀수이다.
- 정적분: 기함수f(x)가 닫힌 구간 [-a, a]에서 연속일 때, 이 성립한다.
3. 우함수와 기함수의 성질
- 합과 곱:
- 우함수 + 우함수 = 우함수
- 기함수 + 기함수 = 기함수
- 우함수 × 우함수 = 우함수
- 기함수 × 기함수 = 우함수
- 우함수 × 기함수 = 기함수
- 미분과 적분:
- 우함수를 미분하면 기함수가 된다.
- 기함수를 미분하면 우함수가 된다.
- 우함수를 적분하면 기함수가 된다. (단, 적분 상수가 0일 경우)
- 기함수를 적분하면 우함수가 된다.
우함수와 기함수는 복잡한 함수의 성질을 분석하고 미적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도구로 활용된다. 함수의 대칭성을 파악하면, 계산량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수학적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.
https://fastcampus.info/4n8ztzq
(~6/20) 50일의 기적 AI 환급반💫 | 패스트캠퍼스
초간단 미션! 하루 20분 공부하고 수강료 전액 환급에 AI 스킬 장착까지!
fastcampus.co.kr
반응형
'수학 > 기초대수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48일차 : 한 번에 끝내는 컴퓨터 공학 & 인공지능 복수전공 초격차 패키지 강의 후기 (1) | 2025.08.17 |
---|---|
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47일차 : 한 번에 끝내는 컴퓨터 공학 & 인공지능 복수전공 초격차 패키지 강의 후기 (2) | 2025.08.16 |
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45일차 : 한 번에 끝내는 컴퓨터 공학 & 인공지능 복수전공 초격차 패키지 강의 후기 (1) | 2025.08.14 |
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44일차 : 한 번에 끝내는 컴퓨터 공학 & 인공지능 복수전공 초격차 패키지 강의 후기 (4) | 2025.08.13 |
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43일차 : 한 번에 끝내는 컴퓨터 공학 & 인공지능 복수전공 초격차 패키지 강의 후기 (1) | 2025.08.12 |